매년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곳곳에서 기록적인 폭우로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기상이변에서 비롯된 것이다. 예측할 수 없는 이례적인 폭우 등이 발생하고, 이를 경험해 본 적 없기 때문에 대응하지 못하고 피해로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행정안전부 측은 사물궁이와 손잡고 ‘폭우로 인한 침수 상황 시 대처 방법’을 자세하게 안내한 바 있다. 이는 누구나 알고 있어야 하는 필수적인 부분이다.
먼저 상습 침수지역 또는 산사태 위험 지역 등 폭우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면 수도와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놓은 뒤 거주지 주변의 배수시설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만일 차수벽이나 모래주머니를 활용할 수 있는 곳이라면 쌓아놓는 것도 좋다. 비상 연락망 역시 사전에 확인해 주고 대피명령이 발령되면 대피 장소 또는 안전지대로 즉시 이동해야 한다. 저지대 주차 차량은 대피명령이 발령되기 전에 안전한 곳으로 미리 이동시켜놓는 것이 좋다.
특히 이런 상황들을 정확히 파악하고 움직이기 위해서는 티비나 라디오, 인터넷 등을 적극 활용해 상황을 수시로 확인해 줘야 한다.
또 공통 사항으로 수심이 무릎 이상일 경우에는 혼자서 대피하려고 시도하지 말고 119에 구조 요청을 해야 한다. 만일 수심이 무릎 이하라면 곧바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해야한다. 특히 산 주변의 하천 등은 지반침하와 산사태, 감전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집이나 건물 등 실내 침수 공간에서의 대응 요령이다. 수도,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놓은 뒤 신속히 대피한다. 만일 폭우로 대피하게 될 경우 건물 안에 있다면 침수된 물의 압력으로 인해 문을 열지 못할 수도 있다. 인원이 많다면 힘을 합쳐 문을 열면 되고 열리지 않는다면 119에 구조를 요청해야 한다.
침수 계단에서의 대응 요령이다. 이동할 때는 계단 난간을 잡고 이동해야 하고 슬리퍼나 하이힐 등 발에 고정되지 않는 신발을 신었을 때는 미끄러질 위험이 있으므로 맨발로 이동한다.
또 다음은 하천에서의 대응요령이다. 하천의 경우 기상 상황이 안 좋으면 근처에도 가서는 안 된다. 혹시 하천 근처에 있을 때 폭우가 계속되거나 대피 안내가 나오면 즉시 대피해야 한다. 만약 고립되어 급류 횡단을 해야 하면 안전장치 없이 횡단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구조대의 도움을 받아 이동해야 한다.
차량이 침수됐을 때 대응할 수 있는 요령이다. 침수지역을 통과할 때 타이어가 잠기지 않게 물 높이를 판단해 진입해야 한다. 운행할 때는 저속 운행을 해야하고 급제동을 해서는 안 된다. 만일 침수로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황이라면 연속으로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한다. 간혹 자동차에 미련을 두고 대피할 때를 놓치는 운전자가 많다고 한다. 수심이 깊어질 경우 물의 압력으로 차 문이 열리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내부와 외부의 수위 차이가 30cm 이하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문을 열어야 한다. 이후 신속하게 대피해야한다.
또 폭우 상황이 안정된 후 집으로 귀가했을 때 들어가기에 앞서 구조적 붕괴 가능성을 우선 점검해 준다. 집에 침수피해가 발생했다면 가스 누출과 전기 감전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환기를 시켜주고 가스, 전기차단기가 꺼져있는지 확인한 뒤 들어가야 한다.
행정안전부 측은 “폭우를 비가 많이 내리는 상황 정도로 가볍게 판단하는데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라고 말했다.
사진=픽사베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