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

연중기획: 친환경의 진실(2) : 진짜 친환경은 재생산업 활성화로부터 시작된다

이정윤 발행일 2022-05-30 12:36:59
[데일리환경=곽덕환 기자] 친환경 인증을 붙이려면 폐기물이 적게 나오는 차량에 한정해야 한다.

 도로를 달리는 전기자동차의 등록번호판을 유의 깊게 보면 특이한 색상과 함께 부호 3가지를 발견하게 된다.

 우선 번호판의 색상이 파란색이다. 친환경이란 이미지를 부각시켜 대국민 홍보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좌측 상단에 자동차 모형 안에 전기 플러그 모양이 그려져 있다. 순수 전기만 사용하는 자동차란 의미이다.

 좌측 하단에는 대한민국 표식의 문양이 큼직하게 그려져 있다. 나라에서 보조금을 준 차량이니 대한민국 인증표시라도 붙이려고 한 것인가 의문이 든다.

 그리고, 네자리 번호의 우측 끝에 영어로 EV라는 문자로 만들어진 이니셜이 붙어있다. Electronic Vehicle의 약자일 것이다.

 이렇게 호화스럽게 번호판을 장식한 이유는 무엇일까? 홍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부의 전략이다. 전기자동차를 널리 보급하는 것이 친환경을 위해 가장 좋은 일이라고 과대포장하기 위한 것이다.

 사실 전기자동차는 아직 친환경 자동차라고 말하기 곤란하다. 내연기관을 장착하지 않아서 화석연료의 대표인 석유를 사용하지 않기에 매연이 없다는 것은 친환경에 부합된다지만 자동차를 구성하는 부품과 소재들은 전혀 친환경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폐프라스틱의 열분해 공정, 이 공정을 거쳐 재생유와 재생프라스틱 등의 원료가 생산된다.

 그 중에서 가장 반친환경적인 소재가 바로 배터리이다. 우리는 전기자동차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원에 연결하고 배터리를 충전해야만 한다. 이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발전소에서는 어떤 연료를 사용하는가 살펴보자.

전기를 제일 많이 생산하는 것은 화석연료를 태워 발생하는 수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화력발전이다. 이 부분을 절대 간과해서는 안된다. 온실가스 배출이 이뤄지고 있다. 분진으로 인해 공기가 오염되고 있다. 그런데도 내가 도로에서 연기를 내뿜지 않기 때문에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다고 자신할 수 있겠는가? 그럼 100% 원자력과 태양광, 수력, 풍력, 조력, 지열 등의 천연에너지원을 이용하면 되지 않을까? 그건 따로 설명할 필요도 없이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두 번째로 짚고 넘어갈 것이 배터리의 생산과 폐기이다.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매우 고성능이고 전기를 좀 더 많이 잡아두기 위해 특별한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 중에는 니켈이 아주 중요한 소재가 된다. 그런데 이 니켈을 광산에서 캐내고 제련하고 배터리에 사용하기 위해 고순도의 니켈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에너지가 소요된다.

그 에너지는 앞에서 말한 화력발전에 대부분을 의지하고 있다. 이미 상당량의 탄소가 배출되었고 지구 온난화를 가속하는데 크나큰 기여를 했다. 그리고 배터리도 수명이란 것이 있다. 수명을 다한 배터리는 어디로 가서 어떻게 생을 마감하게 될까 궁금해하는 전기자동차 운전자가 몇이나 될까 궁금하다.

각종 중금속이 토양을 오염시킬 것이 뻔하니 땅에 묻어 버릴 수도 없고, 태우자니 각종 유독성 가스가 분출되어 지구 전체를 위험에 빠뜨릴 수도 있고, 창고에 쌓아두자니 그 비용이 어마어마하게 불어나 기업의 생존까지 위협하게 된다. 절대 친환경이라고 할 수 없는 이유이다.

 셋째는 자동차를 구성하는 부품의 소재가 점점 프라스틱으로 변해가고 있다. 어떤 차량은 외형마저 프라스틱으로 만드는 경우가 있다. 무게가 가볍고, 비용이 저렴하고, 원하는 모양을 만들어내기 쉽고, 수명이 길고, 소재를 구하는 것이 쉽다.
▲탄자니아의 니켈광산 전경. 자연 파괴의 현장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전기차가 지구를 위험하게 만들 수 있다는 증거이다.


그런 장점 뒤에 숨어있는 단점을 살펴보면 절대 썩지 않고, 미세프라스틱이 되어 우리에게 돌아오고, 프라스틱을 만들기 위해 심해와 지하에서 원유를 퍼내고 가공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탄소를 배출한다. 이것을 우리는 친환경이라고 불러서는 안되는 이유가 된다.

 이제 우리는 전기자동차를 개발하고 판매하는 자동차회사에게 어떤 요구를 해야 할 것인가 고민해볼 시기가 되었다. 우선 재활용할 수 있는 부품의 사용을 권장하고, 폐배터리의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폐기 방법을 연구하고 실행할 것을 요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정부는 자동차 개발에 얼마나 친환경 소재를 사용했는지 여부와 폐배터리의 처리에 대한 과제를 얼마나 성실하게 이행하는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따져 친환경 자동차 인증제도를 마련하고 그 점수에 따라 구매지원금을 차별화하는 등의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최근 중소기업 및 대기업들이 힘을 모아 폐프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재생연료로 만들고, 섬유로 만들고, 새프라스틱의 원료로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탄소배출권 인정에도 도움이 된다.

앞으로 정부와 기업들은 기후 변화와 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높아진 관심에 부합되는 규제와 연구과제를 수행함으로서 함께 공존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할 것이다.

연중기획 친환경의 진실(3)에서는 열분해기술로 폐프라스틱을 처리하고 재활용하여 친환경을 이끌어가는 미래 기업들의 모습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곽덕환 기자 news.korea@outlook.kr

ass1010@dailyt.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함께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