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황명선 의원(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논산·계룡·금산)이 전방지역 군무원 이탈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황명선 의원이 육군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저출산으로 병역자원이 감소하면서 ‘18년 이후 전방지역 군무원 정원은 대폭 늘었다. ’18년 469명이던 전방군단 군무원은 ‘24년 4,885명까지 늘어나 약 10.4배 증가했다.
반면 군무원 채용률은 낮아지는 추세다. ’21년에 비해 ‘24년 획득률이 20% 가까이 감소했다.
채용이 되더라도 문제다. 신규 임용 후 3년 이내 그만두는 면직자들의 규모가 상당하다. 문제는 전체 군무원 면직자의 80%가 전방지역 군무원이라는 점이다. 전방지역은 군사적 긴장
감이 높을뿐 아니라, 주거·교통 환경이 열악해 비선호지역으로 꼽힌다. 군인은 관사, 전세자금대출, 월 16만 원의 주거 수당을 선택할 수 있지만, 군무원은 해당 사항이 없다. 9급 군무원 1호봉의 실수령액은 175만 원. 전방지역에서 근무할 경우 월세 6~70만 원, 교통비 5~15만 원을 지출하면 사실상 월급 절반이 날아가는 셈이다.
황명선 의원은 “병력도 감소하고 있는데, 군무원 이탈까지 가속화되는 것은 창급 부대의 작전 수행 능력을 저하, 우리 전투 준비태세를 약화시키는 요인”이라고 지적하며, “전방근무수당을 신설할 뿐만 아니라, 군무원 이탈을 막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한 때”라며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