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환경=안준영 기자] 전국 곳곳에서 산불이 동시다발로 발생했다. 이에 대형 산불 예방과 총력 대응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김영록 전남지사는 “산불 예방에 동참해달라”고 간곡하게 호소했다. 산불은 한 번 발생하면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산불은 한 번 발생하면 소중한 자연을 잃는 것은 물론 인명 피해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산불 예방법을 공개하며 당부 메시지를 건낸 바 있다. 가장 먼저 산에 오르기 전에는 입산통제 및 등산로 폐쇄 여부 등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일 산불이 일어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통제 지역은 입산하지 않아야 한다.
특히 산에 오를 시에는 성냥이나 담배 등 산불을 일으킬 수 있는 인화성 물질 등을 소지하지 않아야 한다. 이뿐만 아니라 취사를 하거나 모닥불 등을 피우는 행위 역시 산불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는 반드시 허용된 곳에서만 실시해야 하며 만일 주변에 산불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위험 요소가 없는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하지만 성묘 등으로 불가피하게 불씨를 다뤄야 하는 상황에는 반드시 간이 소화장비를 갖춰야 한다. 또한 산림이나 산림과 연접된 지역에서는 절대로 담배를 피우지 않는다. 이뿐만 아니라 입산 통제 구역에는 출입하지 않아야 하며 불씨가 남아 있는 담뱃불 역시 함부로 버리지 않는다.
그렇다면 산에서 산불을 발견했을 때 어떻게 해야할까? 산에서 산불을 발견했을 때 대응 요령도 중요하다. 초기에 발생한 작은 산불을 진화할 경우에는 외투 등을 사용해 두드리거나 덮어서 진화할 수 있다고 한다. 특히 산불은 바람이 부는 쪽으로 빠르게 확산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 방향을 고려해서 산불의 진행 경로에서 벗어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한다.
만일 불길에 휩싸였다면 불기운이 약한 곳으로 신속히 대피해야 한다. 대피할 때는 이미 타버린 곳이나 저지대, 탈 것이 없는 곳, 도로, 바위 뒤 등 안전한 곳으로 피해야 한다. 또한 산불보다 높은 위치는 피해야 하며, 복사열로부터 멀리 떨어져야 한다.
대피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낙엽이나 나뭇가지 등 연료가 적은 곳을 골라 연소물질을 긁어낸 후 얼굴 등을 가린 채 불길이 지나갈 때까지 엎드려 있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특히 산불이 주택가로 번졌다면 불씨가 집안이나 집으로 옮겨붙지 않도록 집 안에 있는 문, 창문을 닫고 집 주위에 물을 뿌려줘야 한다. 더불어 폭발성과 인화성이 높은 가스통 등은 안전하게 제거한다.
이후 주민 대피령이 발령될 경우에는 빠르게 대피하고, 산림에서 멀리 떨어진 논, 밭, 학교 등 공터를 대피 장소로 이용한다. 혹시 대피하지 않은 사람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웃을 확인하고 위험 상황을 알려 함께 대피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행정안전부는 추가적으로 산불 피해 지역 가축 관리도 공개했다. 산불에 놀란 가축들이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축사를 정리 정돈해 환경 변화를 최소화한다. 가축에게 깨끗하고 시원한 물을 충분히 제공하며 스트레스를 받은 가축은 부드러운 풀, 사료를 조금씩 자주 주는 것이 좋다. 매우 놀라 불안정한 행동을 보이는 가축은 평온을 찾도록 신경 써서 돌봐야 한다.
또한 전염병 예방을 위해 수의사의 처방을 받아 강심제, 비타민제, 수액, 광범위 항생제 등 약물을 투여한다. 특히 어린 가축이나 임신한 가축은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잘 보살펴야 한다.
만일 화상이나 상처를 입은 가축은 소독 후 상처 부위가 덧나지 않게 연고 등을 발라준다. 야생동물의 접근을 막기 위해 축사의 청결을 유지한다. 변질된 사료는 절대 가축에게 먹여서는 안 되며 폐기 처리한다. 산불 피해를 입은 야산에는 목초를 파종해 토양 유실을 막고, 목초는 사료자원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사진=픽사베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