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희경 원장은 지난 3월 4일 충남연구원장으로 취임했으나, 석사학위 논문 표절로 인한 학위 자진 반납과 정치적 중립성 훼손 우려 등으로 자격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전 원장은 충남도의회 인사청문회에서 “도민들이 염려하시는 부분은 알 것 같다.
우려를 불식시키고 연구 객관성·신뢰성을 지킬 것”이라고 밝혔지만, 취임 이후에도 국민의힘 의정부갑 당협위원장직을 유지한 채 각종 정치행사에 참석해 논란을 키웠다.
실제로 ▲4월 19일 의정부시 탁구협회장기 대회 ▲6월 1일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 의정부 유세 ▲7월 25일 의정부도시교육재단 출범식 등에 의정부갑 당협위원장 신분으로 참석한 사실이 확인됐다.
더욱이 연구원은 그 특성상 연구위원과 연구원이 대부분 석사·박사 학위 소지자로 구성되는 기관이다. 그러나 전 원장은 석사학위를 반납해 현재 학사 학위만 보유하고 있어, 연구기관 수장으로서의 전문성에도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현행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9조는 출자·출연기관 임원에게 직무상 성실 의무와 품위 유지 의무를 명시하고 있으며, 충남연구원 내부 규정 또한 임용 시 ‘연구부정행위’ 등 7대 비리 검증 항목을 두고 있다. 그럼에도 전 원장은 연구원장직을 유지한 채, 본연의 책무보다 자신의 정치활동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정춘생 의원은 “논문 표절로 학위를 반납한 사람이 연구기관의 수장으로 있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며 “자신의 지역구 정치행사에 참석하고 특정 정당의 당협위원장을 겸직하는 것은 명백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 의원은 “충남도민의 세금으로 경기도 정치인의 정치활동을 지원해주는 꼴”이라며 “전 원장은 지금이라도 스스로 사퇴하는 것이 도민에 대한 예의”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당협위원장은 주요 정당에서 지방선거 공천권 등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리이다. 내년도 경기도 의정부시 지방선거를 책임질 사람을 왜 충남도민의 혈세로 키워줘야 하느냐”며, “충남도민을 철저히 무시하는 행태”라고 비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