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홍철 의원(더불어민주당‧경남 김해갑)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택배 물동량’자료에 따르면, 국내 택배 물동량은 2020년 33억 7,373만 건에서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여 2024년에는 59억 5,634만 건을 기록했다. 이는 4년 만에 76.6% 급증한 수치이다.

국민 1인당 연간 택배 평균 이용 횟수도 ▲’20년 65.1회 ▲’21년 70.1회 ▲’22년 81.5회 ▲’23년 99.7회 ▲’24년 115.1회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24년 기준으로 계산해 보았을 때, 국민 1명이 평균 3일에 한 번꼴로 택배를 받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하지만 오프라인 시장의 상황은 사뭇 달랐다.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 받은 ‘연도별 대형마트, 백화점, 전통시장 매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대형마트 3사(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의 연간 총매출은 2020년 25조 원에서 2024년 21.1조 원으로, 5년 만에 매출이 15.6% 가량 감소했다.
이 같은 하락세는 당일 배송, 새벽배송 등 고도화된 온라인 택배 시스템이 식료품·생필품과 같은 일상재 수요를 상당 부분 흡수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편의성과 시간 절약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오프라인 매장을 찾을 이유가 점차 사라진다는 것이다.
반면, 백화점은 상반된 흐름을 보였다. 롯데·현대·신세계 등 백화점 3사의 연 매출은 2020년 21.4조 원에서 2024년 31.2조 원으로 45.8% 늘었다. 프리미엄 소비와 명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백화점은 코로나19 이후에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통시장은 다소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다. 전통시장 매출은 △2020년 25.1조 원, △2021년 25.3조원, △2022년 25.3조원으로 정체된 흐름을 보이다가, 2023년 28.7조원으로 소폭 증가했다.
민홍철 의원은 “택배 물동량 증가는 코로나19 이후 구조화된 소비 변화의 결과이자 사회 전반의 흐름”이라며, “그럴수록 지역 상권과 전통시장을 보호하고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정부의 전략적 개입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