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정부는 2023-2025년까지 3년간 총 49조원 규모의 재정투자를 계획했으나, 실제로 편성된 예산은 40조 7천억원으로, 계획 대비 82.8% 수준에 그쳤다. 과소편성된 규모는 약 9조원에 달했다. 2023년의 경우 계획 대비 96% 수준으로 예산이 편성되었으나 2024년에는 82%, 2025년에는 74%로 해마다 큰 폭으로 축소되었다.
특히 2025년 예산은 전년대비 1.4조원을 증액해 18.6조원을 편성하려는 계획이었으나, 오히려 전년보다 3천억 원이 줄어든 13.8조원이 편성돼 정부의 탄소중립 이행 의지가 약화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분야별로도 격차가 두드러졌다. 정부는 해당 예산을 7개 분야로 구분해 예산을 편성했는데 이중‘부문별 감축 대책’은 76%, ‘정의로운 전환 분야’는 66%, ‘인력양성 및 인식 제고’ 분야는 70%로 저조한 반면, 실효성 논란이 이어져 온 ‘국제협력(ODA 등)’ 분야는 계획 대비 126%로 오히려 초과 편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배출이 많은 수송·건축 분야 핵심 사업의 편성률도 낮았다. 무공해차 보급사업은 계획의 75%,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은 48%, 자동차 배출가스 관리사업은 46%를 편성하는데 그쳤다.
'탄소중립기본법'은 대통령 직속의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를 설치하고, 국무총리와 국무조정실이 위원회의 활동을 지원해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과 녹색성장을 총괄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기본계획에 따른 예산조차 안정적으로 확보하지 못하면서, 정책의 실효성과 신뢰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허영 국회의원은 “우리나라는 아직도 국제사회로부터‘기후악당’이란 비판을 받고 있다”며 “전 세계가 탈탄소 경제질서로 전환하는 상황에서, 이행 속도가 늦어질수록 우리 기업과 산업의 경쟁력은 더욱 약화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한 허 의원은 “탄소중립 정책의 성패는 결국 재정의 실질적 뒷받침에 달려 있다”며 “정부가 스스로 약속한 투자 계획조차 지키지 못한다면 ‘2030년 탄소배출 40% 감축’ 목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허 의원은 그는 “국무총리 주도하에 범정부 차원에서 관련 재정, 정책, 입법 등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