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환경=안영준 기자]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과 환경 보호를 위한 자원 재활용은 우리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자원 재활용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분리배출의 중요성 역시 함께 강조되고 있다. 실제 대다수의 지자체에서는 시민들의 올바른 분리배출 유도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재활용률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부가 발표한 ‘2022 환경통계연감’에 따르면 2021년 국내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분리배출된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률이 56.7%인 것으로 확인됐다. 같은 해 유럽연합(EU)의 재활용률인 40.6%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높은 수치인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해당 수치는 ‘소각을 통한 에너지 회수’가 포함된 것으로 이는 유럽에서 인정하지 않는 부분으로 확인됐다. 이에 지난 2023년 충남대 연구팀은 유럽 기준으로 국내의 재활용률을 다시 조사한 결과 재활용률이 16.4%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또한 지난 2022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발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발생한 플라스틱 폐기물 가운데 단 9%만이 재활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플라스틱 폐기물에 비해 재활용률은 턱없이 모자라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플라스틱이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해안가에 떠밀려 바다로 유입된 플라스틱이 미세 플라스틱으로 분해돼 해양 생태계를 오염시키고 있는 문제는 전 세계가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공통된 환경 문제다. 또한 최근에는 플라스틱이 인간의 인체에도 유해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플라스틱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플라스틱과 관련된 생산업계는 플라스틱을 재활용하거나 석유 대신 사탕수수 등을 원료로 한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에 힘을 쏟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버려진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기술 발전과 소비자들이 실천해야 하는 분리배출을 넘어 플라스틱 사용 자체를 줄여야 한다는 점이다. 결국 플라스틱 자체에 대한 생산 감축이야말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사진=언스플래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