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스크림‧냉방휴게실은 정규직만? 정혜경, 쿠팡 비정규직 차별 작심비판

이정윤 발행일 2025-08-20 22:04:23
클렌징 폐지 등 과로사 대책도 미이행, 장관에게 “정부가 책임져야”
▲(사진=KBS 환노위 전체회의 캡쳐) 진보당 정혜경 의원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영훈 고용노동부장관에 질문하고 있다.

 [데일리환경=안상석기자] 정혜경 의원이 쿠팡의 과로사 대책 미이행과 비정규직 차별문제를 폭로하며, 정부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정 의원은 20일 오전 국회 환노위 전체회의에 출석한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비정규직을 양산한 것은 정부”라 지적하며, “헌법적 가치를 지키지 못한 정부와 정치가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쿠팡은 지난 1월 쿠팡 청문회, 2월 쿠팡-소상공인‧민생단체 상생협약 등을 통해 과로사의 원인으로 지목된 △‘상시 해고제’ 클렌징 제도 폐지, △‘공짜노동’ 분류작업(롤테이너 혼적) 개선, △‘100원짜리 강제노동’ 프레시백 회수문제 개선 등을 약속했다.

이후 정 의원은 정 의원은 7월 24일 분당 송파2캠프, 8월 7일 창원1캠프, 11일 부산1캠프 등을 직접 방문하여 쿠팡의 약속 이행여부를 점검한 바 있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방문했던 모든 쿠팡 물류센터에서 과로사 대책 이행은 전무했다. 여러 배송기사의 물품이 엉망으로 섞인 롤테이너에서 노동자들은 2~3시간 직접 분류작업을 했고, 프레시백의 경우 회수단가가 반품단가에도 못 미칠 만큼 헐값 노동이지만 회수율을 기준으로 클렌징(해고) 되다보니 노동자들은 강제로 일하고 있었다”고 폭로했다.

이어 “폭염기에 아이스크림과 냉방시설 휴게실이 정규직에게만 제공되는 충격적인 차별도 있었다. 특히 휴대폰 반입금지는 쓰러져도 신고조차 할 수 없는 구조로 경악할 일”이라 강도 높게 비판하며 쿠팡 현장에 대한 전국적인 관리감독을 촉구했다.

또한 정 의원은 “이런 비정규직 차별구조를 만든 책임은 정부에게도 있다. 노동자들이 정부와 기업에 손해배상을 청구해야할 사안”이라 지적하며, “쿠팡 하청노동자들이 쿠팡 본사와 교섭하고, 노동현장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노조법 2·3조를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김 장관은 “그동안 비정규직 대책이 부족했다는 정 의원의 지적에 대해 정부를 대신하여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장관이 쿠팡 동탄 물류센터를 직접 점검했듯,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현장을 살피겠다”고 전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함께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