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와 온실가스의 증가는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을까? 기후변화로 인해 토지가 건조해지면 토양에 저장돼있던 이산화탄소가 공기 중으로 방출된다. 이 때문에 초목이 감소하고, 초목이 저장할 수 있는 온실가스 자정 능력도 줄기 때문에 사막화는 더욱 가속화한다. 영화 속에서만 본 황폐해진 지구의 모습이 더 이상 영화 속의 모습이 아니라 현실화할 수 있다는 충분히 예상 가능한 시나리온 것이다.
또한 지구가 건조하고 뜨거워지면 자연스럽게 산불이 다량으로 발생한다. 산불이 날 경우에도 나무 속에 있는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며 기후 변화를 가속화시킨다. 즉, 기후변화는 산불과 사막화의 원인이 되고 산불과 사막화가 기후변화를 악화시키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이에 2020년부터 온실가스 배출 감축 시행 합의가 시행된다. 2018년 10월, 우리나라 인천 송도에서 제48차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 IPCC총회가 진행됐다. 오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구체적인 방법을 시행하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다.
지구평균기온 상승폭을 1.5℃로 제한하게 된다면 2100년을 기준으로 지구평균기온 상승폭을 2.0℃로 제한할 때보다 10cm나 더욱 낮아지고 1000만 명이 해수면 상승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 현재의 속도로 기후변화가 지속된다면 2030년부터 2050년까지 평균 기온 상승폭은 1.5℃를 초과하고, 전 지구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대폭 감축해야 하는 목표를 수립했다.
이에 누리꾼들은 “기후변화, 정말 심각한 상황이라는 것을 모두가 인지해야 합니다” “기후위기가 더욱 크게 와닿는 것 같아요” “우리 뿐만 아니라 후손들을 위해 지구를 아껴써야 합니다” “점점 기후 이상현상들이 나타나고 있어요” “모두 환경을 보호합시다” 등 환경보호에 각성하는 반응들이 이어지고 있다.
탄소중립이란 인간의 활동으로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줄이고 친환경으로 에너지 전환을 진행, 실제적인 탄소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이다. 불가능해 보이지만, 국가가 나서서 진행한다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부분인 것이다.
이처럼 막을 수 있을 때 막아야 하는 것이 기후 변화이다. 더 이상 미래의 일이 아니라 진행되고 있는 문제인 만큼, 100년 후, 예상 시나리오가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