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 제출 자료에 따르면, 교육부 지침은 심의 요청 접수 후 4주 이내 학폭위 개최가 원칙이지만, 강서·양천의 학폭위 개최 지연율은 96.3%로 서울시 11개 교육지원청 중 가장 높았다. 사실상 10건 중 9건 이상이 법정 기한을 넘기고 있는 셈이다.
채 의원은 실제 사례를 제시하며 지연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양천구 중학생 A양은 단톡방에서 지속적으로 사이버폭력을 당했다고 신고했지만 무려 6개월 뒤에야 학폭위가 열렸다”며 “그 기간 동안 피해학생은 가해학생과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며 2차 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돼 있었다”고 지적했다.
채 의원은 지연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폭증하는 사건 대비 부족한 인력 구조를 지적했다. 서울 지원청 평균 학폭 신고는 약 600건이지만, 강서·양천은 963건으로 평균보다 300건 이상 많은 수준이다. 그럼에도 학교폭력전담조사관 및 생활교육팀 인력은 타 지역과 비슷한 수준이며, 학교폭력심의위원도 법령상 최대 50명으로 제한되어 있어 현실적 대응에 한계가 있다.
채 의원은 “중부는 전담조사관 배치에만 최대 7일, 동작․관악은 6일이 소요되는 등 최대 7일인 피해학생 분리조치 기간과 맞물려 피해학생 보호에 심각한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진숙 평생진로교육국장은 “인력도 문제이지만, 심의장소 자체가 부족한 것이 큰 원인”이라고 답변했다.
채 의원은 “학생 수와 학폭 발생 건수에 비례해 전담인력·심의위원·심의실을 탄력적으로 확충할 수 있는 제도적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며, “교육청이 교육부에 적극적으로 제도 개선을 건의해 피해학생 보호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채 의원은 끝으로 “학교폭력 피해학생은 단 하루도 기다릴 수 없다”며 “학폭위 심의 지연으로 피해가 방치되는 일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청의 즉각적이고 구조적인 대응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