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관리청은 장마와 무더위가 계속되는 가운데 주의해야 할 ‘풍수해 감염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풍수해 감염병’이란 장마, 태풍,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발생하는 감염병을 말한다. 하천의 범람과 침수 발생 시 병원균, 모기, 파리, 쥐 등과 같은 감염 매개체 서식처의 환경 변화 및 위생환경이 취약해짐에 따라 감염병 유행 가능성이 높아져 개인의 위생 관리가 더욱 중요해진다.
‘풍수해 감염병’은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 모기 매개에 의한 감염병, 접촉성 피부염·파상풍·렙토스피라증, 안과 감염병 등으로 나눠진다.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 물이 닿거나 냉장이 유지되지 않은 음식 섭취 금지
■ 끓인 물이나 생수 등 안전한 물 마시기
■ 음식은 위생적으로 조리하고 충분히 익혀 먹기
■ 설사나 구토 등의 증상이나 손에 상처가 있을 경우 조리하지 않기
■ 채소나 과일은 깨끗하게 충분히 씻어 먹기
모기 매개 감염병은 모기 매개체의 증가로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말라리아나 일본뇌염 등이 있다. 예방 수칙은 다음과 같다.
■ 모기 기피제 사용하기
■ 야간활동 자제하기
■ 야간 야외활동 시 밝은 색 긴 옷 착용하기
■ 야외 활동 후 샤워하기
■ 가정용 살충제 및 방충망 정비하기
■ 고인물 등 모기 서식지 제거하기
■ 모기에 물린 후 발열, 오한, 두통 등 증상 발생 할 경우 의료기관 방문하기
수해복구 작업 시 피부 노출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 파상풍, 렙토스피라증 예방수칙은 다음과 같다.
■ 침수지역에서 작업 시 방수 처리된 보호복, 장화, 고무장갑 반드시 착용하기
■ 물에 노출된 피부는 깨끗한 물로 씻어내기
■ 작업 중 오염된 상처가 생기거나 작업 후 발열, 근육통 등 증상 발현 시 의료기관 방문하기
유행성각결막염과 같은 안과 감염병 예방수칙은 다음과 같다.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 수건, 베개, 안약, 화장품 등 개인 소지품 공동으로 사용 금지
■ 눈에 부종이나 출혈, 이물감 등이 있을 경우 만지지 말고 안과 전문의 진료받기
장마와 무더위가 지속되는 여름철 개인은 풍수해 감염병 예방수칙에 대한 정보를 미리 익혀 개인의 위생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각 지자체는 감염병 발생에 대한 철저한 대비와 면밀한 모니터링을 통해 국민들 건강관리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
사진=질병관리청
댓글
(0)